오늘은 가정집의 욕조에 대해서 약간 말씀드리겠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일본의 서민들이 살고있는 집에 대해 먼저 이야기하지 않을 수가 없네요(그런데 조금 걱정도 됩니다. 사실 저는 일본에서 서민생활이라기보다는 거의 극빈층에 해당하는 생활을 했기 땀시 제 경험이 일반적일 수 있을지 상당히 의심스럽습니다...).
일본에는 우리나라와 같은 전세라는 제도가 없습니다. 일본 얘들한테 한국의 전세 계약제도에 대해 이야기해주었더니 놀라더군요. 돈없는 서민들에게 정말로 좋은 제도라고...Why ? 계약기간 끝나면 전세금 그대로 돌려받잖아요.
일본의 경우 진짜 독특하다 못해 쬐금 골때립니다. 집을 구할 때는 거의 부동산을 통해서 구하는데 일반적으로 계약기간은 2년이고 이 후 갱신하는 형태인데 만일 월세가 5만엔이라고 하면 최초 계약시에 약 6개월치의 달세, 즉 30만엔(우리나라 돈으로 300만원이 넘죠)이 필요합니다.
우선 1달치 월세를 소개비쪼로 부동산에서 가지고 "시키킨" 2개월치, "레이킨" 2개월치 그리고 계약한 달의 한달치 월세가 필요합니다. 완전히 선불제이죠.
그런데 "레이킨"이 모냐고 하면 집을 빌려주어서 고맙다고 집주인에게 인사비쪼로 주는 돈입니다. 우습죠. 아니 내가 니집을 빌려서 니한테 수입을 올려주는데 니가 내한테 고맙다고 해야지 내가 니한테 인사하냐고라고라고라...
아뭏튼 이 돈은 계약이 끝나더라도 돌려받지 못합니다. 그리고 "시키킨"이라는 것이 보증금인데 이는 원칙적으로는 계약기간 후 돌려받을 수 있다고는 하지만 거의 못 돌려받는다고 생각하심 됩니다. 어떤 정도냐 하면, 2년 후 이사한다고 가정하면 벽에 못을 몇개 쳤으니 얼마 떼고, 부엌의 씽크대가 더러워졌으니 청소하는데 얼마 떼고, 환풍기에 음식기름끼가 꼈으니 청소하는데 얼마 떼고, 2년지나면 자연히 벽지의 색이 바램에도 불구하고 새로 도배하는데 얼마 떼고...그럼 남는 것은 전혀 없지요.
진짜 독한 주인 만나면 "시키킨" 2개월치로 모자라니 1개월치 더 내놓으라고 하는 불상사도 아~주!! 자~아~주~!! 있습니다. 특히 "레이킨"이나 "시키킨"이 2개월치가 아니고 1개월치인 집이 나온 경우가 있는데 싸다고 계약하면 이런 경우가 비일비재합니다.
그리고 집 계약시 반드시 일본인 보증인이 인감도장을 찍어준 보증이 있어야 하는데 이는 계약인이 몇개월치의 집세를 미루고 야반도주하거나 사람이 짐은 고대로 둔채 몸만 증발하는 경우를 대비해 밀린 집세를 받고 짐을 임의처분하는데 필요한 경비 혹은 집을 파손한 것에 대한 대비로 필수적인 요구조건입니다.
경제규모나 요즘의 환경에 비해 엄청 후진적인 것을 알 수 있으시겠죠. 그럼 보증인은 외국인만 필요하냐 ? 그건 아니고요 일본인이 집을 구하더라도 반드시 필요합니다. 그럼 일본인들은 어떻게 하는냐. 사실 일본에도, 특히 동경에서 30대의 가장들이 자기집을 가지고 사는 사람은 그리 흔치 않습니다.
직장이 확실한 샐러리맨이 30대 중반에서 40대가 되어 조금 수입에 여유가 생기기 시작하면 20년~30년의 장기융자로 20평대의 아파트(일본말로는 맨션)를 사는 것이 일반적인데 그러면 좀 못사는 사람은 ? 부모가 아들, 딸 보증서고, 자식들이 부모 보증서고....서로 물고 물리는 전형적인 후진시스템...이해가 안가죠. 저도 이해 못했거든요. 그런데 일본사람들은 다 이해하더라고요.
그럼 외국인들은 어떻게 집을 구하느냐 ? 일단 보증 설 일본인이 있어야 합니다. 우선 유학생의 경우는 지도선생이 서주는데 이것도 일본시스템에서는 녹록치 않거든요. 사실 부탁하는 학생도 그렇잖아요. 그래도 재정보증 비슷한 건데 말입니다. 제가 다닌 학교는 학교에서 보험회사와 계약해서 경비는 제가 내구 보험회사에서 보증을 서서 그런 경우는 없었지만 이것 때문에 좀 골치 아픈 경우도 많습니다.
그럼 일본에서 돈 좀 벌어볼려고 외국에서 일하러 온 사람들은? 회사에서 보증 안 서주면 보증이 필요없는 그런 집들을 구해야 하는데 거의 우리나라의 쪽방 수준이라고 보면 되겠습니다(사실 T.V.에서 본 적 밖에 없지만 공동화장실을 사용한다면 말 다했죠 뭐...믿기지 않으시겠지만 동경에도 그런 집 많음).
그리구 일본에서 아파트라고 하면 거의 건물 1~2동짜리의 연립주택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목조건물의 다가구주택도 이 사람들은 아파트라고 하데요. 그럼 우리나라의 아파트 형태는? 맨션이라고 하더군요.
국가경제규모에 비해 얘네들 우리나라 사람들보다 불쌍하게 산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동경에 사는 사람들이 너무 비싼 경비로 혹카이도에 3박4일짜리 여행 못가고 서울에 5박6일짜리 여행가는 정도이니...
그리고 잊지 마실 것은 처음 이사하실때 형광등은 꼭 준비하셔야 합니당~ 왜냐구요? 먼저 살던 사람이 떼 가니깐요. Why? 지 돈주고 지가 달은 것이니...제가 70년 중반대에 중핵교를 댕겼는데 그 때 우리나라에서 이사댕길때 형광등 떼가는것 보고난 이후 처음 겪었습니다. 아니 2000년대에 그것도 세계경제규모 몇 위의 나라에서 이런 골패는 황당한 경우가 있다니...쩝!
제가 살아본 집을 말씀드리면 처음 혼자 있을때 월 3만 5천엔(당시 우리나라 돈으로 40만원임)짜리에 살았었는데 다다미 8조(다다미 1조는 우리나라의 일반적인 아파트에 있는 욕조의 80% 정도의 크기)짜리에 수세식 쪼그려쏴 자세의 화장실, 그리고 다다미 2조크기의 부엌이라고 하기엔 뭐하지만 하여튼 씽크대 1개짜리의 부엌 비스므리한 것이 있는 집에서 살았습니다. 당근 욕실은 없구요 아침에 세수는 씽크대에서 했습니다.
세수할 때 자세를 구부리면 등에 벽이 닿더군요. 하지만 제가 아는 유학생 부부가 집들이 비슷한 것 하러 놀러와서는 3만 5천엔짜리 치곤 괜찮다고 하더군요. 목조 2층집의 2층이었는데 지붕이 함석판이라서 여름에 거의 잠을 못 잘 수준이었습니다.
뜨거운 양철지붕 위의 고양이가 아닌 양철지붕 밑의 고양이라고나 할까. 일요일에는 너무 더워서 늣잠을 못 잘 정도라 아침 8시면 저절로 눈이 뜨집니다. 너무 덥고 땀이 나서 목욕탕가려면 오후 2시나 3시까정 목욕탕 영업시간까지 기둘리야지... 가몬 모해 냉탕이 없는데...미치고 폴딱폴딱 뛸 정도지요. 그럼 어카느냐. 학교로 가야지요. 에어컨 빵빵 나오는 시원한 연구실에 오래 있기위해 주중, 주말 가릴꺼없이 거의 지하철 막차를 타고 다녔는데 본의아니게 공부 열심히 했습니다.
6개월 후에 와이프가 어린 꼬맹이 둘을 데리고 오는 관계로 그래도 무더운 여름(동경 더위 장난아님)에 얘들 샤워는 시켜야 하겠기에 6만5천엔짜리 집을 구했는데 다다미 8조, 다다미 6조 크기의 방이 각 한개, 그리고 다다미 4조짜리 크기의 부엌, 화장실과 욕실이 있는 집을 구했습니다. 그런데 우리나라의 경우는 좌변기가 욕실내에 있는 것이 보통인데 이에 반해 일본 집의 경우 거의 대부분이 화장실과 욕실이 구분되어 있더군요. 왜일까? 아직까지 풀리지 않는 의문입니다. 이런 것이 문화적 차이인가? 분명 어떤 이유가 있을 것도 같은디......
아마도 가족과 함께 일본의 동경에서 살았던 아파트와 가장 유사한 형태의 아파트입니다. 그래도 이 건물은 신축건물인지 상당히 깨끗하네요. 제가 살았던 건물은 엄청 낡았었는데...
|
암튼 아는 유학생 부부가 또 놀러와서리 6만5천엔의 집세에 엄청 좋은 집을 구했다고 다시 한번 칭찬하더군요...쩝 ! 사실 비슷한 크기의 훨씬 깨끗한 5만엔짜리 집을 찜했었는데 계약직전에 포기했습니다. 처음엔 몰랐는데 연구실의 일본학생들이 말리더라구요. 바로 교도소 옆이라고....지하철 독가스 사건을 일으킨 옴진리교 교주가 거기에서 도닦고 있다나 모래나...허거걱 어쩐지 엄청 싸더라 했더니...사실 전철 역에서도 좀 멀고...이거 별 것 아닌 것 같지만 중요합니다.
일본에서는 교통비가 한국에 비해 거의 3배 정도 비싸다고 생각하시몬 틀림없습니다. 전철 역이 멀면 버스를 타야하는데 일단 버스가 밤 10쯤 되면 다니지 않고요 약 200엔(당시 환률로 2400원이죠)이므로 왕복하면 400엔 이거이 한달을 곱하면 10000엔이 넘거든요. 그런데 내만 탑니까. 대형슈퍼는 거의 전철역 근처에 있으니 와이프도 시장 댕길려면 타고 다녀야죠. 그럼 거의 15000엔이 됩니다. 달세 10000엔 차이이면 방 하나 더 있거나 아님 그 정도 로 부엌이 넓은 집을 구할 수 있는 돈이거든요.
암튼 가족이 일본에 오기 직전에 새집에 입주해서 혼자 일주일 정도 지냈는데 욕조를 보니 기가 차더라구요. 물론 요즘의 새로운 집은 그렇지 않겠지만(사실 살아본 경험이 없어 잘 모름) 욕조가 직사각형. 거의 컴퓨터 책상 크기라고 생각하면 되겠습니다(그림의 맨 위의 것이 일반적인 가정집 욕조임). 가로, 세로, 높이가 80cmx100cmx80cm, 깊이가 80cm이니 우리나라 욕조와 비교해서 거의 2배정도 깊습니다.
일본의 가정집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사각형 욕조. |
들어가면 다리가 당근 안펴지죠. 앉아서 다리를 쪼그려야 합니다. 처음엔 엄청 불편하더라구요. 그런데 사용해보니 그것도 그런대로 편한 구석이 있더군요. 왜냐하면 물이 엄청 절약되니깐요. 반만 채우고 들어가면 물이 거의 가슴에까지 찹니다. 물론 덩치가 큰 분은 목까지 올라오겠지만...ㅎㅎㅎㅎ... 3분의 1만 채워도 반신욕하기는 딱이죠. 그래도 그 물마저 아낄려고 목욕할 때는 꼭 가족이 함께 했습니다.
당시에는 얘들이 유치원 다닐 정도였으므로 엄청 고난도의 요가체형을 만들면 4명 모두 들어갈 수 있었거든요. 3분의 1정도 채우면 물이 넘쳤습니다. 흐~으~ 그 좁아터진 욕조에 4명이 쪼그리고 앉아있는 모습이란...상상이 안가시죠. 그래도 꼬맹이들은 엄청 즐거워하더군요. 재미있다고 말입니다. 목욕 한번 하면 거의 1시간 정도 걸리더군요.
동경의 여름은 습기가 매우 높아서 하루만 지나도 찝찝합니다. 샤워만 하다가 일요일이 되면 아무리 더워도 뜨거운 물에 목욕시키는데 얘들 미는데 시간이 좀 걸리죠. 아마 한국과 비교해서 때가 2배는 더 나온듯...사실 살아본 동네가 좀 그렇지만 길가다가 일본 얘들하구 비교하면 한국얘들이 대체로 깨끗하고 깔끔합니다. 왜냐구요. 우리 한국인에게는 이태리타올이라는 비장의 무기가 있으니...
주변의 일본 사람들 이야기를 들어보면 그 사람들은 길면서 깊지 않은 서양식의 즉 우리나라와 같은 형태의 욕조는 좋아하지 않는다고 하더군요. 하지만 제 생각엔 그 사람들 워낙 좁은 집에 살다보니 공간절약을 위해 그런 형태의 욕조가 보편화되지 않았나 하는 생각도 해보지만...암튼 일본 가전제품을 보면 형태가 거의 하늘 높은 줄만 알지 땅 넓은 줄은 모르더라구요.
냉장고나 세탁기를 보더라도 높으면서 좁은 형태가 많고요. 사실 일본제품의 특징이 "경박단소(가볍고 얇고 짧으면서 작은 크기)"아닙니까. 아마도 이런 주거생활의 문화차이에서 오는 특징이 아닐까? 하고도 생각해봅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