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Cameras and Photos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Cameras and Photos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9년 7월 29일 월요일

내 장난감 Sony Cyber-Shot Foldable Digital Camera

   2005년도의 여름 초입인 최근에 정말이지 우연히~ 그리고 본의아니게~ 게다가 우습게 장만한 Sony Cyber-Shot Foldable 디카입니다. 128메가 메모리를 사용하는데 막 찍기는 정말 좋습니다. 당시에 메뉴얼을 공부해야지 하면서도 아직도 하지 않고 있다는... 더 중요한 사실은 분명히 이 카메라가 분명히 집에는 있지만 지금은 어디에 있는지 전혀 모르겠다는...


Sony Cyber-Shot Foldable Digital Camera, 128 MB Memory
이제 이 카메라는 어디에서도 구할 수 없을 것입니다. 인터넷에서 사진도 구하기 힘듭니다. 이 카메라의 사양을 적을려고 하였지만 어디에서도 메뉴얼을 찾을 수가 없네요. 하기야 인터넷에 사진조자 없는 카메라인데...

   당시에 저보다는 오히려 저희집 꼬맹이들이 더 잘 다룹니다. 동영상촬영도 하는지라 그 때부터  와이프가 캠코드 사자는 말을 안 하더군요. 하기야 먹구 살 돈두 빠듯한데...무신 캠코드...
   일본에서 얘들 보육원에서 운동회할 때 꼬맹이 사진 찍으러 F-301을 가지고 갔더니 주위의 일본인 아자씨들이 신기하게 쳐다보더라는.... 전부 명함만한 디카 아님 캠코드를 들고 있더군요. 사람들이 예술을 모르더군요....
   그런데 전 이 카메라 별로 좋아하지 않았습니다. 필름카메라에서 24장들이 한통 찍어서 마음에 드는 2~3장 건지는 것에 비하면 사실 필림값 안든다는 것이 엄청난 장점이지만 웬지 디카는 제 체질에 영...사실 카메라같은 기분도 안들고...사진을 인화해봐야 잘 찍은건지 확인해볼 수 있는데 컴퓨터 모니터상에서 보는 것 만으로는 영 그렇더라구요. 인화하면 사실 필름카메라랑 모가 다른건지...
그래서 이 놈은 제 재산목록 3위였습니다.
   그럼 당시에 2위는 모였냐구요. 당근 내게 일용한 양식의 도구로서 충실한 임무를 수행하고 있는 2004년산 주연텍의 펜티엄4(2.66 GHz, 768 MByte) PC이었습니다.
   그런데 언젠가 돈이 좀 생기면 꼭 블랙바디의 Nikon FM-2를 사고 싶었는데, 아직도 장만을 못했습니다. 윗부분과 밑부분에 은백색의 케이스로 감싸진 FM-2는 어딘지 가볍게 보이더라구요. 이 모델은 디자인이 좀 무식하게 보이지만 오히려 이 둔탁함이 마음에 들고 웬지 고전틱한 느낌도 들구요.
   이거 다른 사람꺼 한번 빌려서 찍어봤는데 거의 수동이라 찍기는 어려웠지만 마음에 드는 사진이 우연히 많더라구요. 그 때부터 이 놈의 FM-2가 자꾸 눈앞에 어른어른거렸다는...
   물론 언젠가 우리의 삼성 케녹스가 적당한 가격에 훌륭한 디카를 출시하는 날이 오면 그 놈도 살 겁니다. 왜 카메라는 아직까지 일본제를 못 따라가지? 역시 연륜의 차이인가? 하지만 요즘 추세를 보면 곧 그럴 날이 올거라고 기대합니다. 허걱!! 그럼 카메라가 도대체 몇대가 되는거야? @_@
   하지만 그 꿈은 실현 불가능입니다. 지금의 시점에서 삼성에서 카메라사업을 접은지 한참되었습니다.
   암튼 당시에는 카메라에 대한 욕심이 상당했었습니다. 원래 당구 못치는 사람이 꼭 큐대 탓한다고...저 역시 사진찍는 실력이 없으니 기계라도 좋아야 하지 않을까하는 생각에...

내 장난감 Nikon F-301

   대학원에서 석사과정을 마치고 지도교수님이 유학을 가는 것이 어떻겠느냐는 강압성의 제의에 혹해서리 1년동안 2년제 대학에서 시간강사를 한 후에 역시나 내 경제적인 능력으로는 도저히 실현불가능하다는 결론에 도달한 후 방향을 U턴해서리 1990년 제가 처음으로 직장같은 직장에서 받은 첫 월급을 몽땅 털어서 싼 카메라입니다.



F-301 SLR 35 mm Film Camera, which was sold in the United States as N2000.
Shutter Speed: B to 1/2000 sec, A Mode, P Mode and P-Hi Mode are supported.


   그 때 처음으로 알았습니다. 아~우!! 카메라살 때 카메라 바디와 렌즈는 따로 국밥이라는 사실을... 두번째 월급 때 표준렌즈를 샀습니다. 이 놈 때문에 먹고 살 돈이 없어서리 거의 3개월 동안 매일 야근했습니다. 야근하몬 저녁 주거든요...ㅋㅋㅋㅋ...그 때 하루 2,800원 야근 수당받은 기억도 나네요. 세상에나 대한민국에서 그 당시 제일 큰 기업이었는데...그것도 서울 본사에서...한달 야근수당이 하루 2800원 그것도 열흘까지만 인정해줍니다.
   암튼 그래도 저녁식사 포함해서 한달 28,000원이몬 지하철비는 충분했던 기억이 나네요. 울산에 있던 제 동기들이 저보다 월급이 1배 반에서 2배정도이더군요..벽지수당이 따로 나오거든요. 울산이 벽지 혹은 오지인가???
   쩝! 본사에서는 양복입고 품위유지도 필요한데...암튼 제가 직접 정상적으로 돈 벌어본 첫 경험이라 처음 몇 달동안은 월급이 상당히 많은 돈이라고 생각되더니만 곧 카드돌리기의 생활로 전락되더군요.
   암튼 이 카메라 장만하고나서는 사무실에서 완전히 찍사취급을 받았습니다. 야유회가몬 완전히 내가 짱이었죠. 사진찍을 때 "어(조금 크게)~이(아주 작게)! 부장님! 조그만 왼쪽으로(아주 크게) 서(아주 작게)"하면서 스트레스도 좀 해소하고...
   A Mode(조리개 우선모드)로 인물사진을 잘 찍었습니다. 노처녀 여직원의 얼굴을 조금 환상틱하게 찍어주면 그 다음 주는 제 서류의 타이핑이 무조건  일순위였다는...그 당시에는 인기도 제법 있었는데...쩝! ^o^!!
   ASA 400의 흑백필름을 주로 애용했는데 결혼해서리 와이프하구 둘이서 계룡산 동학사에서 찍은 사진은 아직도 방에 달아두고 있습니다. 제가 봐도 어떻게 내가 저걸 찍었을까하는 생각이 들더군요.
   그런데 이 모델은 일반건전지를 밧데리로 사용하기 때문에 가능하면 충전식 건전지를 사용하는게 편하고요 반드시 사용후에는 건전지를 버리더라도 분리시켜 놓는 것이 안전합니다. 한번은 깜빡하고 한 2달 뒤에 다시 사용하려고 보았더니 건전지에서 액이 흘러나와 완전히 돌아가셨다는 아픈 추억이 있습니다.
   당시 일본에서 있었기에 망정이지 고치지도 못할뻔 했습니다. 바디안의 내장을 완전히 교환했거든요. 전철을 한 50분정도 타고 동경 인근에 있는 니콘의 본사 공장에까정 가서 무려 1만5천엔 가까이 주고 겨우~겨우~ 고쳤습니다.
   니콘공장에서도 부속이 없어서리 한달 정도 기다리다가 폐품처리하러 입고된 카메라의 부품과 교환했다고 연락이 오더군요. 그래서 경비가 그 정도 밖에 안들었다고... 그리고 이번에는 운이 좋아 수리가 가능했지만 이런 고장이 또 생기면 일본에서도 못 고치니 카메라는 버리고 렌즈만 따로 팔아버리라는 충고도 하더군요.
   비록 F-301 모델이 판매량도 시원찮고 샤터의 속도도 그렇게 빠른 편이 아니라서 Nikon의 실패작이기는 해도 결론 초기까지만 해도 그래도 와이푸하구 우리 꼬맹이들 빼구 제가 가장 아끼는  재산목록 1호이었습니다.